반응형
반응형
작년 11월에 코스피 2300이고 코스닥740 이었는데 몇개월만에 많이 지수가 상승했고 내 계좌도 또 조금 상승했다. 아이..그냥 S&P500 지수추종 ETF 나 살걸 ....개별종목으로 따라가기 너무힘들어요...
속도가 좀 느린데 괜히 빨리 갈려고 하다가 넘어지니깐 천천히 올바른 방향으로 가면 아무 문제가 없다.
9월 1일 드디어 7만 전자를 넘었음 저는 없습니다만 왜냐면 갭상할때 매도했.. 삼성전자는 올해 4분기 부터 HBM3 을 공급함으로써 한번더 가치를 입증했음 연말엔 정말 9만 전자를 바라 볼수있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 시장은 그렇게 호락호락 하지 않아! 9만 전자 일때 몰빵 해놓고 기다리고있다면 아직도 택도 없을거고 7만원 8만원대에서 첫 매수를 해서 무식하게 몰빵하지말고 5만 전자일때 조금더 추가매수를 했다면 지금쯤은 매도가능한 상태가 아닐까 주식으로 돈벌기는 진짜 어렵다고 생각해서 저는 그냥 잃지 않는 방법만 생각해봅니다 은행이자보다는 이게 좋지않나 생각해서 하는거라 저도 5만전자일때 매수할때 손이 덜덜거리긴했어요 더 빠지지는 않을까 이겨내야죠 연습해서
오늘은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 하는 날이다 뉴스에 검색만 해봐도 말이 많음 근데 처음 방류 내용이 나왔을 때 난 어떤 교수님의 글을 봤었는데 원자력 폐기물 처리수를 바닷물에 희석시켜 바다로 흘려보내는 일은 모든 나라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고 봤었음 즉 과학적 근거가 있는 기준치 내에서 흘려보낸다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 거였는데 교수님 말씀을 보자면 보통 야광 손목시계 하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2억 베크렐 정도 되고 비상구 안내등에는 9000억 베크렐의 삼중수소가 사용된다. 삼중수소는 자연 상태의 물이나 음식에도 포함돼 있다. 생활 주변에 삼중수소 사실 많이 분포되어 있음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는 리터당 1만 베크렐을 방류 상한 기준으로 삼는다. 만약 사람이 이 기준에 맞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