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CDMO의 강자,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쟁력 분석

반응형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 기업 분석
※ 코스피 상장 기업 (코스피: 302440), 2018년 설립, 백신·바이오의약품 전문 기업


1. 기업 개요

  • 설립년도: 2018년 (SK그룹 계열사로 독립)
  • 상장시기: 2021년 3월
  • 사업분야:
    • 백신 CDMO: 위탁개발생산 (신종플루, 코로나19 백신 등).
    • 자체 백신 개발: SKYCovione(코로나19), 합성항원 플랫폼 기술.
    • 정부 사업: 국가 필수백신 공급, 글로벌 보건 프로젝트(CEPI 협력).
  • 핵심 강점:
    • 국내 유일 세계보건기구(WHO) 프리퀄리파이션 승인 백신 생산시설 보유.
    • mRNA·단백질기반 백신 등 다양한 플랫폼 기술 확보.

2. 매출 구조 및 주요 품목 (2023년 기준)

가. 매출 비중

구분매출 비중주요 내용

백신 CDMO 50~60% 코로나19 백신(Novavax 등), 인플루엔자 백신
자체 백신 20~30% SKYCovione(코로나19), 개발 중인 파상풍·HPV 백신
정부/기타 계약 10~20% 국가백신储备, CEPI(코로나 변이백신 개발)
  • 세부 매출 특징:
    • 코로나19 백신 매출 감소 (2022년 7,000억 원 → 2023년 3,000억 원).
    • 신규 파이프라인: 2025년 상용화 목표로 HPV·파상풍 혼합백신 개발 중.

나. 주요 고객 및 지역별 매출

  • 주된 매출처:
    • 국내(60%): 질병관리청, SK케미칼 등 그룹사.
    • 해외(40%): Novavax(미국), CEPI(국제구호기구), 동남아시아 국가.
  • 생산기지: 한국 안동·화성(세계 최대 규모의 백신 전용 설비).

3. 원자재 및 생산 프로세스

가. 주요 원자재

원자재 유형세부 내용공급처 예시

세포주 Vero 세포(바이러스 백신 생산용) Merck, Lonza
배지 세포 배양용 고가의 특수 영양액 Thermo Fisher, Sartorius
원액(Antigen) 단백질 항원 (재조합 DNA 기술 활용) 자체 생산 및 외부 구매
보조제 면역반응 강화용 알루미늄 계열 소재 Croda, SEPPIC
  • 원가 구조: 원자재 비용이 50%+ (고품질 소재 수입 의존도 높음).
  • 현지화 노력: 2023년 국내 배지 생산업체와 협력 체결.

4. 재무 현황 (2023년 기준)

  • 매출액: 4,200억 원 (전년 대비 40% 감소, 코로나 백신 수요 감소 영향).
  • 영업이익: -600억 원 (R&D 투자 확대 및 매출 감소로 적자 전환).
  • R&D 투자: 매출의 25%+ (연 1,000억 원 이상, 신백신 개발 집중).
  • 경쟁사 대비 약점:
    • 삼성바이오로직스 대비 생산 규모 작음(생산용량 6만L vs 62만L).
    • Moderna·Pfizer와의 mRNA 기술 격차 존재.

5. 경쟁사 및 시장점유율

가. 글로벌 백신 시장 현황

  • 전체 규모: 800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 7%).
  • 주요 기업: Pfizer, Moderna, GSK, Sanofi (4대 메이저 점유율 70%+).

나. 백신 CDMO 경쟁사

기업명국가시장점유율핵심 강점

Moderna 미국 15%+ mRNA 플랫폼 선점, 코로나19 성공
Pfizer 미국 20%+ 대규모 생산 인프라, 글로벌 유통망
Lonza 스위스 8~10% Moderna 백신 위탁생산 전문화
SK바이오사이언스 한국 2~3% 단백질기반·비활성화백신 특화
Serum Institute 인도 5~7% 초저가 백신 대량 생산

6. 성장 전략 및 리스크

  • 성장 동력:
    • 신기술 플랫폼: 자체 개발 합성항원 기술로 HPV·대상포진 백신 차별화.
    • 글로벌 파트너십: CEPI와 2억 달러 규모 변이백신 공동 개발 협약.
    • 생산 확장: 2024년 안동 2공장 증설로 mRNA 백신 역량 강화.
  • 리스크 요인:
    • 정부 계약 의존도: 매출의 30%+가 국가 사업에 집중.
    • 신약 개발 지연: 경쟁사 대비 파이프라인 부족.

7. 투자 포인트

  • 강점:
    • 팬데믹 대응 역량으로 글로벌 신뢰도 확보.
    • SK그룹의 자본력·R&D 인프라 지원.
  • 약점:
    • 단일 제품(코로나 백신) 매출 편중에서 탈피 필요.
    • mRNA 분야에서 Moderna·Pfizer와의 기술 격차.
  • 전망: 2024년 하반기 파상풍 혼합백신 임상 결과에 주목.

요약: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한국을 대표하는 백신 전문 기업이지만, 포스트 팬데믹 시장 수요 감소와 경쟁사의 기술 압박에 직면했습니다. 단기적 실적보다는 신규 백신 상용화 성과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가 관건입니다

반응형